박소호

Park So Ho

mail_outline
overlord2004@naver.com


사심읽기

   사회적 관계에서 사심은 상대방의 ‘드러나지 않은 마음’, ‘숨겨진 의도’이다. 이러한 각자의 사심을 우리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마음 이론에 따르면 각자의 사심은 모방행동을 통해 타인과 자신의 유사점을 찾아가는 과 정에서 발달한다. 마음은 행동의 원인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행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 고, 반대로 행동을 통해서 그 마음을 예측할 수도 있다. ‘사심읽기’란 모방행동을 통해 상대방의 사심을 읽고 이해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끌어당김

   모방행동은 겉으로 나타나는 상대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타인이 어떤 마음을 갖고 행동하는지 ‘의도’를 이해하 여 모방하는 것까지 포함된다. 우리가 모방행동이 가능한 이유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친화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친화력’을 자석과 자석사이의 자기력을 이용해 시각적 으로 표현해 보았다.

Photoshop   |   594*841(mm)


사심읽기 : 모방행동

    우리는 상대방을 신뢰하거나 상대방과 정서적 결합이 높을 때 상대방의 행동을 더 잘 모방한다. 모방행동의 일치 정도를 수치로 계산하여 상대방의 숨겨진 사심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캐릭터는 자신의 사심을 다양한 동작을 통해 전달할 것이다. 유저의 동작 일치정도가 높을수록 캐릭터의 사심을 깊이 이해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 영상의 내용이 더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인터렉티브 아트 실사

전시 영상



박소호  Park So ho
mail_outline
 overlord2004@naver.com

사심읽기

 사회적 관계에서 사심은 상대방의 ‘드러나지 않은 마음’, ‘숨겨진 의도’이다. 이러한 각자의 사심을 우리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마음 이론에 따르면 각자의 사심은 모방행동을 통해 타인과 자신의 유사점을 찾아가는 과 정에서 발달한다. 마음은 행동의 원인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행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 고, 반대로 행동을 통해서 그 마음을 예측할 수도 있다. ‘사심읽기’란 모방행동을 통해 상대방의 사심을 읽고 이해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끌어당김

 모방행동은 겉으로 나타나는 상대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타인이 어떤 마음을 갖고 행동하는지 ‘의도’를 이해하 여 모방하는 것까지 포함된다. 우리가 모방행동이 가능한 이유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친화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친화력’을 자석과 자석사이의 자기력을 이용해 시각적 으로 표현해 보았다.

Photoshop   |   594*841(mm)


사심읽기 : 모방행동

 우리는 상대방을 신뢰하거나 상대방과 정서적 결합이 높을 때 상대방의 행동을 더 잘 모방한다. 모방행동의 일치 정도를 수치로 계산하여 상대방의 숨겨진 사심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캐릭터는 자신의 사심을 다양한 동작을 통해 전달할 것이다. 유저의 동작 일치정도가 높을수록 캐릭터의 사심을 깊이 이해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 영상의 내용이 더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조감도

전시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