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 Jeongah

010-9370-4310

pccho5745@naver.com

00| 개인컨셉   01| 컨셉포스터   02| 인터랙티브   03| 컬래버레이션   04| 필름

개인 컨셉

 |   Concept

컨셉 포스터

 |   Concept Poster

 |   Interactive 인터랙티브

Alice In A Mirror
시각 확장의 공간 속으로 들어가는 체험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루이스 캐럴의 장편소설 ‘거울나라의 앨리스’의 스토리를 차용하여,
시각 확장이 일어난 공간인 거울 속으로 들어가
거울 나라의 특징인 ‘좌우 반전’을 경험하게 된다.

앨리스가 되어 거울 밖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공간 속으로 들어가 보자.
조감도 |
사용 도구 |
- 키넥트, 모니터
진행방식 |
- 사용자의 접근
- 인트로 영상 재생
-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인식하여 캐릭터의 움직임 구현
예상출력화면 |
1. 배경 이미지의 거울 부분에 사용자가 비침. 사용자가 접근하면 거울 속으로 들어가는 영상이 재생됨.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움직임. 3. 쫓아오는 붉은 여왕을 피하면서 도망치는 시계 토끼를 잡으면 성공

컬래버레이션 인터랙티브

 |   Collaboration Interactive

더해서 더 채움
더해서 더 채움이라는 부제에서 출발하였다.

방문자들의 모습이 하나씩 더해져 14조각의 공간을 채우게 되고
그것이 하나의 포스터가 만들어진다.
| 조감도
| 사용 도구
- 키넥트, 빔 프로젝터
| 진행방식
- 사용자가 의자에 앉음
- 손 모양을 인식하여 사진 찍음
- 포스터와 갤러리에 사용자의 사진이 등록됨
| 예상출력화면
1. 사용자를 인식하고 주먹을 보이면 3초 후 사진 찍음 2. 포스터의 중앙에 가장 최근 사진이 등록됨 3. 갤러리 페이지로 넘기면 이전 방문자들의 사진을 볼 수 있음

 |   Film필름

  [ División ] 
컨셉 |
‘참되다, 거짓되다’는 ‘옳고, 그름’, ‘좋고, 나쁨’으로 구분되는 판단에 적용된다. 그렇다면 즐거움이라는 감정을 ‘참되다, 거짓되다’로 판단하여 구분할 수 있을까? 물론 즐거움은 거짓된 판단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즐거움의 여러 가지 원인 중 하나일 뿐 즐거움 그 자체의 속성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즐거움에서 ‘거짓과 참’ 같은 상반되는 개념이 결국 하나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영상의 형식적인 측면으로 단순화시켜 표현하였다. 시놉시스 |
분할된 화면에 각각의 두 사람이 상반된 개념, 공간, 시간, 환경 속에서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곧 경계선은 불명확해지고, 분리되어 존재했던 두 사람이 경계선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영상 속에서 분리라는 개념 자체가 부정된다.

Un-Divisió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