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Songha

010-9601-8536

thdgk8536@naver.com

00| 개인컨셉   01| 컨셉포스터   02| 인터랙션아트   03| 콜라보   04| 필름

개인 컨셉

 |   Concept

JANGNAN 장기적으로 바라보면 우리는 살면서 늘 긍정적인 원인으로만 즐거움을 습득하기가 난망(難望)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남의 고통을 보면서 즐거워하기도 한다.

이 불쾌한 감정은 도덕적인 우리를 괴롭게 만들지만 본능은 때때로 상황에 만족을 야기한다. 이것을 샤덴 프로이데(쌤통 심리)라고 어떤 사람은 말한다.

그렇다면 남을 괴롭히며 즐거움을 얻는 장난도 그럴까? '장난'은 사전적 의미로 '짓궂게 하는 못된 짓'이란 뜻이며 '짓궂다'는'남을 괴롭고 귀찮게 하여 달갑지 아니하다' 라는 의미이다. 짓궂은 짓이라는 공통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장난과 괴롭힘. 비슷해 보이는 두 가지 단어는 나 자신이 행위를 정의할 수 없다. 상대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나의 행위는 장난이 되기도, 괴롭힘이 되기도 한다.

내가 하는 행위를 다른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서 내가 주는 메시지는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을 나 자신이 관찰한다.

컨셉 포스터

 |   Concept Poster

탐찰 (探察) 아름다운 여자가 당신을 바라보고 있다.
그녀가 오직 당신을 바라보고만 있는가? 무엇인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지 않은가? 그저 멀리 서서 보고만 있으면 그녀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모른다. 한 발자국 가까이 다가오자. 그래도 모른다면 한 발자국 더 가까이 오자.

그녀는 당신에게 확실히 말하고 있다. 뭐라고 말하는지 보았는가? 그것을 탐찰하여 발견한 당신은 그 메시지를 보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허탈해 할 것인가? 분노할 것인가?

그 표정을 가감 없이 보여라. 당신의 얼굴을 그녀가 잘 볼 수 있게끔.

 |   Interactive 인터랙티브

갑작스러운 만남
우리는 VR을 통해 만난 적 없는 세계와 조우할 수 있다.
끝없는 미로 속에 갇힌 당신은 그곳을 탈출하기 위해 동전 10개를 모아야 한다.
하지만 그 전에 어떤 미지의 존재와 마주할 지는 아무도 모른다.
잘 듣고, 잘 보다 보면 그 미지의 존재는 당신에게 오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갑작스러운 만남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심호흡을 크게 한번 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 만남에 깜짝 놀랐다면, 당신은 또 나에게 놀아난 것이다.
조감도 |
사용 도구 |
- 블루투스 컨트롤러, Gear VR
진행방식 |
- VR 기기를 쓰고 컨트롤러를 든다.
- VR 기기 내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 고개를 돌려 방향을 정하고 컨트롤러로 앞뒤좌우 움직임을 주며 게임을 진행한다.
예상출력화면 |
1. VR이 켜지면 타이틀 화면이 뜬다. LOOK AT ME TO START’ 버튼을 응시하면 게임이 시작된다 2. 로딩된 미로 화면이 보이고 옆에 있는 상자를 게이지가 다 찰 때까지 쳐다보면 상자가 열리고 동전을 먹을 수 있다. 3. 동전을 10개 모으면 승리.

컬래버레이션 인터랙티브

 |   Collaboration Interactive

탈출
기쁨과 괴로움은 상반되는 감정처럼 보이지만
인간은 괴로움이 수반되는 기쁨을 느낀다.
때로 이 감정은 순수한 기쁨 그 이상의 효과를 주기도 한다.

우리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감정을 극대화해주기 위하여
밀실이라는 환경을 제공하고 VR(Virtual Reality)을 통하여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 조감도
| 사용 도구
- 키넥트, VR
| 진행방식
- 사용자가 VR을 착용함
- 밀실의 문이 보이고 사용자가 열고 밀실 안으로 들어감
- 지시사항이 주어지며 사용자는 그에 따라 문제를 품
- 문제를 틀릴 경우 방이 점점 줄어들며 마지막에는 바닥이 추락하며
사용자에게 극한의 감정을 제공함
| 예상출력화면
1. 사용자가 문을 열고 밀실 안으로 들어감. 2. 사용자는 방에 갇히고 제한시간 내에 문제를 풀게 됨. 3. 문제를 틀리거나 제한시간 내에 풀지 못할 경우 방이 줄어듦.

 |   Film필름

  [ 동상이몽 ] 
컨셉 |
‘즐거움’의 의미를 포함한 독일 단어 중에는 Kurz라는 짧다는 의미의 단어와 weiling 이라는 머무르다, 지속되다 라는 의미의 단어가 합쳐져 재미가 되는, 오락이 되는(Kurzweiling)이라는 단어가 있다. 그의 반의어로는 Lang라는 길다는 의미의 단어와 weiling 이라는 의미가 합쳐져 지루한, 무료한 이라는 뜻이 되는 단어가 있다. 즉 樂은 짧게 지속되는 것, 지루함은 길게 지속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즐거운 것은 빨리 지나가고, 지루한 것은 더 오래 남아서 우리를 괴롭힌다. 영상에서 우리는 지루한 것을 짧게 짧게 나누어 즐거움이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한다. 시놉시스 |
책상을 가만히 바라보는 지루한 영상이 보인다. 그러다가 책장이 한 두장씩 넘겨지면서 같은 상황을 다른 여러 관점에서 보는 짧은 동영상이 여러개 보인다. 그리고 다시 지루한 영상이 나오면서 상황이 반복된다. 지루함과 즐거움 같은 길이의 시간이지만 지루한 것을 다양한 관점으로 짧게 짧게 나누어 즐거움이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