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 Dayoung

010-5790-2399

areyouyes@naver.com

00| 개인컨셉   01| 컨셉포스터   02| 인터랙티브   03| 컬래버레이션   04| 필름

개인 컨셉

 |   Concept

?-! 사람은 항상 다른 외부의 사물들과 상호작용을 한다. 우리는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기쁨 또는 사랑과 같은 긍정적 감정(능동적인 정서)을 느끼기도 하고 슬픔, 원망, 좌절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수동적인 정서)을 느끼기도 한다. 당연하게도 상호작용으로 인해 항상 긍정적인 감정만을 느낄 수는 없으며 부정적인 감정들을 필연적으로 느끼게 된다. 우리는 이런 부정적인 감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컨셉 포스터

 |   Concept Poster

 |   Interactive 인터랙티브

왜곡
마구 뒤섞여 있는 영상은 이해할 수 없는 상태의 혼돈과 어려움을 나타낸다.
이런 혼돈 상태를 손을 움직이는 행위(어떤 노력)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원본 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것으로 노력을 통한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조감도 |
사용 도구 |
- 키넥트, 모니터
진행방식 |
- 한 명의 사용자의 손 움직임 인식
- 사용자가 모니터 앞에 위치하면 영상이 분할됨
- 사용자가 손을 흔들면 점점 원래의 영상이 나타남
예상출력화면 |
1. 한 명의 사용자가 모니터 앞에 위치하면 영상이 분할됨 2.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따라 영상이 바뀜 3. 사용자의 원본 영상이 모니터에 보여짐

컬래버레이션 인터랙티브

 |   Collaboration Interactive

시선
사람들이 공포영화를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공포영화를 볼 때 시청자는 긴장감과 불안한 감정을 느낀다.
하지만 영화가 끝나면 앞서 느꼈던 긴장감(공포)이 누그러지며
편안함(행복한 감정)을 느낀다고 한다.
우리는 이처럼 공포와 두려움을 인내함으로 행복한 감정에 도달할 수 있다.

즉, 기쁨을 느끼기 위해서는 기쁨을 얻을 때까지의 힘든 과정이 선행되어야한다.
‘시선’ 인터렉티브 아트는 이를 바탕으로 하였다.

사용자에게 간접적인 공포를 제공하고, 그 공포를 인내함으로써
기쁨에 도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 조감도
| 사용 도구
- 키넥트, 빔 프로젝터
| 진행방식
- 사용자가 몰래보기로 내부 확인
- 키넥트로 사용자가 입장하는 것을 감지
-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다가오면 분위기 전환
| 예상출력화면
1. 몰래보기로 보았을 때 밝은 분위기의 화면 출력 2. 사용자의 입장과 동시에 분위기 전환 3.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반응하는 화면

 |   Film필름

 [ 너는 나에게 ] 
컨셉 |
기쁨은 절대적이지 않다. 개인에게 가치 있는 기쁨만이 진정한 기쁨인 것이다. 이것은 특히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더욱 두드러지며 어떤 사람에 대해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은 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한 사람의 가치는 절대적이지 않고 판단하는 사람에 따라 항상 바뀐다. ‘너는 나에게’는 바로 ‘사람마다 어떤 이의 가치를 판단함에 있어서 그 기준이 상이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어떤 이에게 가치 있는 사람(기쁨)이 자신에게도 같은 가치를 지닐 수 없으므로 자신에게 가치 있는 기쁨만이 진정한 기쁨이다.’는 메시지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시놉시스 |
군중 속 다양한 사람들이 등장한다. 사람마다 각각 가격이 매겨져있다. 그 중 한 인물에 초점이 맞춰지고 영상이 진행된다. 이 인물의 가치는 시시때때로 계속 바뀐다. 어떤 이에게는 높은 가치를 가진 사람이지만 어떤 이에게는 낮은 가치를 가진다. 한 사람의 가치는 판단하는 사람에 따라 항상 달라진다. 우리는 자신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 ‘무엇’이고, ‘누구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